목록트리 (3)
DNF LOVE
둘 이상의 노드로 이뤄져 있는 서브 트리를 완전히 삭제하고자 할 때, 서브 트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를 방문해야 한다. 순회란, 이렇듯 모든 노드를 방문하는 것을 뜻한다. 이진 트리의 순회는 연결 리스트의 순회와 달리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트리의 순회와 이를 활용하는 수식 트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순회의 세 가지 방법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 Root -> left -> right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 Left -> root -> Right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 : Left -> RIght -> Root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 A -> B -> C 중위 순회(Inorder T..
1. 트리(Tree) :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이다.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트리의 종류는 컴퓨터의 디렉토리 구조 역시 트리로 되어 있다. 트리라고 하는 것은 Root를 기준으로 가지(Branch)를 뻗어 나가기 때문이다. 트리를 처음 이해하면 일반 자료구조처럼 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야 한다는 생각은 비우도록 하자. 대신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도구라고 생각하자. * 의사 결정 트리 : Yes/No에 따라 가지가 나뉘어 지는 트리.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 - 노드(Node) : 트리의 기본 요소.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Branch)를 합친 것이다. - 가지(Branch, Edge)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 - Root Node : 트리의 ..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각 특징에 맞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담는 자료구조가 존재한다.이 포스팅은 다양한 자료구조의 종류와 각 특징의 간단 정리를 하는 글이다.- 자료구조의 분류자료구조는 크게 두 분류로 나뉘어진다. 바로 선형구조와 비선형 구조이다. ■ 선형구조 : 선형 리스트(배열), 연결 리스트, 스택, 큐, 데크 ■ 비선형구조 : 트리, 그래프선형구조란? 자료를 구성하는 원소들은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형태를 의미한다. 어떤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느냐에 따라 세부적으로 나뉠 수 있다.비선형구조란? 하나의 자료 뒤에 여러개의 자료가 존재할 수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그림으로 보면 더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선형구조는 아래와 같이 1부터 4까지 순차적으로 원소를 나열시키는 형태이며,비선형구조는 아래와 같이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