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니티 (17)
DNF LOVE

우리의 게임 최종적 모습은 이렇게 된다. 순서대로 구현해보도록 하자! 1. Player와 Coin이 부딪치면 Coin이 사라지도록 하자.(gameobject Destroy) 우리가 자주 하는 쿠x런을 떠올려 보도록 하자. 쿠키가 젤리를 먹으면 어떻게 되는가? 젤리는 플레이어가 움직임과 동시에 사라지고 점수가 올라가지 않는가? 그렇다면 플레이어와 코인이 부딪치면 코인이 사라지는 것을 구현해야 한다. 그럴때 사용하는 것이 Object.Destroy함수이다! Destroy함수는 gameobject, 시간을 매개변수로 갖고 있는 함수이다. 첫번째 매개변수는 사라질 Object를 나타내고, 두 번째 매개변수 시간 t는 Destroy함수가 호출되고 몇 초 뒤에 Object가 사라지는 것을 설정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Unity에선 여러 충돌 처리를 지원해준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는 Trigger와 Collision이다. 이 둘의 차이와 함께 충돌 처리를 해보도록 하자. 1. 충돌처리 조건 충돌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충돌이 일어나는 두 오브젝트 모두 Collider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동적으로 움직이는 상대에게는 Rigidbody가 붙여져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전 포스팅에서 Coin Object만 셋팅했지 Collider를 붙이진 않았었다. 이렇게 드래그 해서 컴포넌트를 붙이면 드래그 한 4개 모두 동시에 Box Collider 2D가 붙여진다. Collider를 붙이면 Scene에서 Object 주변에 초록색으로 Collider가 붙여져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

https://dnf-lover.tistory.com/40 Scale을 비율에 맞게 x, y, z를 줄여주는 방법이다. 각 0.3으로 줄여주니 모양이 알맞아졌다. 이렇게 하면 간편하지만, 크기를 줄여야하는 Object가 많을 시 하나하나 바꿔주기엔 귀찮지 않겠는가? 이를 sprite크기 자체를 한번에 줄여주면, 이 sprite를 하이라키에 불러올때 자동으로 줄여진 상태로 불러오게 될 것이다. 2. Sprite의 절대적 크기 줄이기. Scale은, 우리가 이 Coin이라는 png형식의 Image를 만든 그 때의 크기를 기준으로 Unity 좌표계 크기에 맞춰 이미지를 불러온다. (나 왜이렇게 말을 못하지? 걍 저장했을때의 값을 기준으로 1이라 치고 이걸 Unity에서 불러오면 저장했을떄의 크기로 Unity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