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컴퓨터사이언스 (3)
DNF LOVE
1. 컴퓨터 시스템 :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 네 가지 구성요소로 구분된다. 하드웨어란?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I/O)로 구성되어 기본 계산용 자원을 제공한다. 응용프로그램이란?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컴파일러, 웹 브라우저 등의 사용자의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 자원이 어떻게 사용될지를 정의한다. 운영체제는 다양한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간의 하드웨어 사용을 제어하고 조정한다. 즉,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란?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SW이다.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기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
1. 트리(Tree) :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이다.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트리의 종류는 컴퓨터의 디렉토리 구조 역시 트리로 되어 있다. 트리라고 하는 것은 Root를 기준으로 가지(Branch)를 뻗어 나가기 때문이다. 트리를 처음 이해하면 일반 자료구조처럼 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야 한다는 생각은 비우도록 하자. 대신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도구라고 생각하자. * 의사 결정 트리 : Yes/No에 따라 가지가 나뉘어 지는 트리.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 - 노드(Node) : 트리의 기본 요소. 자료 항목과 다른 항목에 대한 가지(Branch)를 합친 것이다. - 가지(Branch, Edge)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 - Root Node : 트리의 ..
[스택과 큐] 1. 스택 : 스택은 탑 모양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진행된다. 즉, 데이터가 들어오면 아래부터 쌓이게 되고, 데이터가 나갈 때는 가장 최근에 들어온 데이터부터 나가게 된다. A. 스택의 연산 i. Push : 스택에 데이터를 넣는 연산 ii. Pop : 스택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연산 iii. Top : 스택의 가장 꼭대기를 가리키는 포인터 iv. isEmpty : 스택이 공백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연산 v. peek : Top이 가리키는 데이터를 반환 데이터가 A -> B -> C -> D 이 순서대로 들어있는 스택이라고 할 때, 4번 Pop을 하게 되면 D -> C -> B -> A 이런 순서대로 데이터가 출력된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