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3)
DNF LOVE
* 위 글은 비전공자를 비방하는 글은 절대 아니며, 어떤 상황이든 예외적 요소가 있다는 것을 먼저 밝힌다. * 오히려 비전공자들에게 진심어린 조언을 해주고 싶으나, 항상 결과는 뜯어말리게 되는 나와 현직 개발자들의 모습을 보며 성찰하는 글이다. * 귀찮은 사람은 맨 아래에 세줄 요약 있음 1. 여긴 회사, 계열마다 복지, 대우, 연봉 테이블이 천차만별이다. - 하는 일은 풀스택이고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하지만, 초봉 2700인 중소 기업 많음 - 하는 일은 안드로이드 프론트앤드이고 복지 좋아서 유동 출퇴근인데 초봉이 4000인 스타트업도 있음 - 공채로 입사했으나 업계 자체 한계 상 메신저 대기업은 초봉 5천 받을때 초봉 4천 이하로 받는 경우도 많음 - 10년전 개발자 초봉과 현재 초봉은 여전히 동..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세상이 기억하는 훌륭한 개발자들이 세상에 존재한다. 앨런 튜링, 리눅스 토발즈, 데니스 리치, 빌 게이츠, 스티븐 잡스, 폰 노이만 등.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남성 개발자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세상엔 이름을 남긴 훌륭한 여성 개발자는 없는 것일까? 1. 세계 최초 프로그래머, 에이다 러브레이스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알고리즘'이다. 이 첫 알고리즘을 생각해낸 사람은 누굴까? 그것은 19세기 영국의 러브레이스 백작 부인 에이다 러브레이스이다. 에이다는 어릴 적 부터 많은 교육을 받고 자랐는데, 그 중 여성 발명가 배비지를 많이 따랐다고 한다. 배비지를 통해 '초기 컴퓨터'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베르누이 수'를..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마켓팅 언어가 탄생하고 부터 이 IT업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람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인터넷을 하다보면 특히 '프로그래밍 하고 싶은데 적성에 맞지 않을까 고민된다.'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글은, '과연 나는 프로그래밍 적성에 맞을까?'에 대한 답변이다. 코딩에서 가장 중요한것이 무엇이냐 하면, 수리력도, 추리력도 아닌 바로 논리력 * 논리란? 1. 사고와 행동 면에서 타당한 규범과 기준을 취급하는 과학을 말한다. 추론의 형식적 원리에 대한 과학. 2. 컴퓨터에서의 진리표, 명제의 상호 관계, 개폐 회로 요소의 상호 접속 등에 관한 기초적 원칙과 응용. 3. 말이나 글에서 사고나 추리 따위를 이치에 맞게 이끌어 가는 과정이나 원리 4. 사물 속에 있는 이치. 또는 사물끼리의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