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딩 (4)
DNF LOVE
* 위 글은 비전공자를 비방하는 글은 절대 아니며, 어떤 상황이든 예외적 요소가 있다는 것을 먼저 밝힌다. * 오히려 비전공자들에게 진심어린 조언을 해주고 싶으나, 항상 결과는 뜯어말리게 되는 나와 현직 개발자들의 모습을 보며 성찰하는 글이다. * 귀찮은 사람은 맨 아래에 세줄 요약 있음 1. 여긴 회사, 계열마다 복지, 대우, 연봉 테이블이 천차만별이다. - 하는 일은 풀스택이고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하지만, 초봉 2700인 중소 기업 많음 - 하는 일은 안드로이드 프론트앤드이고 복지 좋아서 유동 출퇴근인데 초봉이 4000인 스타트업도 있음 - 공채로 입사했으나 업계 자체 한계 상 메신저 대기업은 초봉 5천 받을때 초봉 4천 이하로 받는 경우도 많음 - 10년전 개발자 초봉과 현재 초봉은 여전히 동..

이전 포스터에서 자료구조를 선형, 비선형 구조로 구분하여 각 자료구조 별 특징을 나눠봤다. B로만 갈 수 있는 간선은 로 표시한다. 무방향 그래프와 다르게 로 나타낼 수 없다. 즉, 는 다른 의미다. 6. 가중치 그래프 : 간선에 비용이나 가중치가 할당된 그래프이다. 7. 순환 그래프 : 단순 경로의 시작 정점과 종료 정점이 동일한 그래프이다. 8. 비순환 그래프 :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이다. [Tree] 트리란?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은 연결 그래프다. 정점의 수 N에 대해 간선의 수는 항상 N-1이다. 두 노드 사이의 경로는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DP의 대표격인 피보나치 알고리즘. 이를 구현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 중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재귀함수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fib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System.out.println(fibo(num)); } public static int fibo(int n) { if(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