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데이터베이스론 (9)
DNF LOVE

내가 데이터베이스에 흥미를 느끼게 된 것은, 데이터 모델링 덕분이었다. 데이터 모델링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컴퓨터 세계로 표현하는 것인데 인문학에 관심이 많던 나는 인문학의 수많은 데이터화하고, 이를 AI에게 학습시키면 AI는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했다. 각설하고 이번 포스팅에선 현실 세계를 데이터 세계로 나타내는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데이터 모델링에 대해 알기 전에, '모델링'에 대해 알도록 하자. - 모델링이란? 사건에 대한 양상이나 관점을 연관된 사람이나 그룹을 위하여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모델이란, 현실 세계의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된 반영한다. - 모델링의 특징 추상화 : 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

스키마란 무엇일까?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이다. DB의 구조(개체, 관계)와 제약조건을 명세해야 한다. 이를 명시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있게 만들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한다. 스키마는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나뉘어지며, 이렇게 나누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독립성을 위해서이다. 반복적으로 이야기 하지만 데이터 독립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논리적 구조를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말..
데이터베이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데이터 독립성이다.데이터 독립성이란, 데이터의 물리적, 논리적 구조 등이 변경이 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DBMS는 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M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유지하고자 한다.이 독립성을 괴롭히는 악의 근원은 무엇일까?그것은 바로 데이터 종속성과 데이터 중복성이다. 파일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종속성과 중복성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DBMS가 만들어 졌다.이 종속성과 중복성이 최소화 된 DB를 좋은 퍼포먼스를 날 수 있다.1. 데이터 종속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의미한다.- 데이터의 구성방법이나 접근방법의 변경 시 관련 응용 프로그램도 동시에 ..